본문 바로가기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정보

파킹통장 , CMA통장(카뱅 세이프박스,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by 웨이드준 2023. 11. 15.

요즘 많은 20, 30대 사람들이 투자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 하실겁니다. 어떤 방법으로 투자하면 좋을지 감이 안잡히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투자가 아닌 하루라도 넣기만 한다면 수익이 발생하는 입출금통장 형식의 파킹통장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파킹통장을 잘 이용한다면 짧은 기간에도 유동성있는 현금보관을 할 수 있고 이자도 챙길 수 있으므로 현재 파킹통장을 사용하지 않는 분들, 0.1%의 이자를 주는 입출금 통장만 사용하고 계신분들은 잘 보시고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파킹통장이란?

파킹통장은 주차장에 주차한 것처럼 언제든지 넣었다 뺄 수 있는 통장이므로 입출금통장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자가 낮은 입출금통장과 다르게 이자가 높고 금리를 적용받습니다. 하루만 돈을 맡겨도 그에 대한 이자가 발생하는 상품이며 단기 자금의 활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통장입니다. 

파킹상품의 종류

파킹통장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혜택이 쏠쏠한 파킹통장의 종류와 금리, 이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제 1금융권보다는 제 2금융권의 은행에서 높은 금리의 이자를 제공하므로 파킹통장은 2금융권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카카오 세이프박스 : 2.2%(1억원 이하)
  • 토스 뱅크 : 2.0%
  • 케이 뱅크 : 2.3%(3억원 이하)
  • 사이다뱅크 : 3.5%(1억원 이하)
  • SC제일은행 : 2.6%(신규가입 시 3.6%, 6개월)

 

반면에 입출금 통장의 금리는 0.1% 이므로 파킹통장은 더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출시 초기보다는 금리가 많이 낮아지긴 하였지만 입출금 통장보다는 확실히 장점이 있으니 굉장히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CMA통장

CMA는 Cash Masnagement Account의 약자로 증권사에서 만들 수 있는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종합자산관리계좌를 말합니다. 채권, 주식, 펀드 등을 한 계좌에서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장입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증권사에서 우리의 자금을 예탁받아 안정성이 높은 금융상품을 운용하여 수익을 낸 후, 그 수익을 통해 이자형식으로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CMA통장을 만드실 때 주의하실 점은 수익률은 모두 1년기준으로 정산이 되며, 이자가 매일 지급된다면 일할 계산되서 나오는 이자입니다. 뿐만아니라 변동금리를 적용받는 상품이며 수익률은 언제든 바뀔 수 있습니다.

 

CMA통장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지만 통장의 개념과 수익 방식에 대해서 다루는 글이므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파킹상품의 장단점 비교

파킹상품의 장단점을 비교하면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파킹통장과 CMA통장의 공통된 장점은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파킹통장만의 은행의 상품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예금자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CMA통장은 예금자 보호를 받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파킹통장보다는 높은 이자수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